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개념과 원칙

지난 8월 5일(월)에 시작된 인천시청자미디어센터의 미디어 교육 강사 양성 교육에서 ‘미디어 교육의 정의와 특징’이라는 제목의 첫 강의를 했습니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란 무엇인가에 대한 강의는 꼭 필요한 강의이지만, 개인적으로는 지나치게 반복하고 싶지 않아 개론 강의 의뢰를 사양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이 문제에 대해 저에게는 우리 대학의 학부나 대학원 강의에서 충분한 시간을 두고 논의하는 자리가 있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인천시청자미디어센터는 제가 지역 사회 안의 봉사를 위해 발전협의회 위원을 맡고 있는 곳이라, 시간과 여건이 허락하는 한 도움을 드리고자 노력하고 있습니다. 센터장님과 센터 직원 한 분 한 분이 정성으로 지역 내 미디어 교육의 발전을 위해 헌신하는 모습에 감동을 받아서이기도 하고, 우리 대학과의 MOU가 서류에 그치지 않기 위해 저부터 노력해야 한다고 생각하기 때문입니다.

미디어 교육 강사 교육을 여는 첫 시간을 맡아,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개념과 원칙, 방향을 정리하는 내용을 앞부분에 적어보았습니다. (뒷 부분은 생략합니다.) 디지털 미디어 환경에서 디지털 리터러시와 미디어 리터러시를 혼용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 둘은 교집합이 있지만 분명히 다른 영역과 목표를 갖는 용어입니다. 무엇보다, 미디어 리터러시는 미디어가 생산하는 메시지와 담론의 영향에 대한 인식을 바탕으로 미디어의 작동방식과 미디어의 메시지에 대한 비판적 이해에 목표와 내용을 둔 교육입니다. 학교 미디어 교육 내실화 정책이 추진되는 상황에서, 혼동이 없기를 바라는 마음에서 강의 앞부분 내용을 공유합니다.

===========================================

1) 미디어 교육은 미디어에 대한 접근, 이해, 활용을 목표와 내용으로 한 교육이라고 정의할 수 있다. 미디어 교육이 필요하고 중요한 이유는 현대 사회를 살아가는 인간의 개인적, 사회적, 문화적, 경제적, 정치적 삶과 성장에 미치는 미디어의 영향력이 증대하면서 이에 대한 접근, 이해, 활용이 어린이에서부터 성인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삶의 국면과 단계에서 중요해졌기 때문이다.

2) 미디어를 소재, 자료, 기술 도구로 활용하여 다른 내용을 가르치는 교육은 미디어 교육이 아니라 미디어 활용 교육이다. 미디어 교육은 학습자의 미디어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하는 교육이다.

3) 미디어 메시지가 만들어지는 방법, 이유, 목적에 대한 이해, 개인이 메시지를 서로 다르게 해석하는 방식, 가치나 관점이 메시지에 명시적 혹은 암묵적으로 포함되고 제외되는 방식, 미디어가 개인과 집단의 신념과 행동에 미치는 방식을 살펴보는 미디어 분석, 미디어 접근 및 활용을 둘러싼 윤리와 법적 문제에 대한 이해와 시민적 실천이 미디어 교육에서 중요하다.

4) 미디어 제작에 대한 교육은 메시지를 전달하기 위해 가장 적절한 미디어 제작 도구와 특성, 관습에 대한 이해와 활용, 메시지가 소통되는 문화 환경 속에서 가장 적절한 표현과 그것의 해석을 위한 효과적인 미디어 언어와 표현 방법의 이해와 활용에 있다.

5) 미디어 분석과 제작뿐 아니라, 디지털 미디어 환경 속에서 이루어지는 메시지의 소통, 콘텐츠의 유통에 미치는 미디어 산업과 디지털 기술, 사회, 문화와 정치적 영향에 대한 이해, 어린이와 청소년 및 성인들의 미디어 문화에 대한 이해와 개선을 유도하는 것도 중요하다.

6) 현대 디지털 기술과 미디어 환경의 변화로 인해 미디어 교육은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 접근, 이해, 활용이 중요하게 되었으며, 이 점에서 학습자의 디지털 미디어 기술 활용 능력과 태도를 강조하게 되었고, 교수법 차원에서도 디지털 미디어 기술의 활용이 중요하게 되었다.

7) 디지털 미디어를 활용한 정보의 접근, 이해, 활용이 중요하게 대두되면서 ‘미디어 리터러시’, ‘정보 리터러시’, ‘디지털 리터러시’ 등의 용어가 함께 사용되고 있고,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디지털 격차 해소’, ‘디지털 페어런팅’, ‘디지털 시민성’ 등의 개념도 등장했다.

8) 관련 용어와 개념의 이해가 다소 혼란스러울 수 있으나, 미디어 교육의 목표가 미디어에 대한 접근, 이해, 활용에 있다는 점을 알고, 교육 대상의 이해와 경험 정도를 고려하면서 미디어 교육의 방향을 설정하는 것이 무엇보다도 중요하다. 영상 미디어 제작 자체를 목표로 하는 교육은 미디어 교육의 본질에 부합하지 않는다. 미디어 제작의 목표는 미디어 메시지가 만들어지는 방법, 이유, 목적에 대한 이해를 목표로 해야 미디어 교육이라 할 수 있다.

9) 진로교육을 강조하는 중학교 자유학기제 도입과 선택 과목 중심의 고교학점제 정책, 학습자 참여 중심 수업 및 창의성 교육, 통합 교육 및 융합 교육을 강조하는 학교 교육 정책, 디지털 교과서 및 스마트 기기 활용 교육과 최근의 소프트웨어 교육 정책은 학교에서도 미디어 교육이 활성화될 수 있는 환경과 토대를 마련해왔다.

10) 소셜미디어 이용을 바탕으로 한 초연결사회, 빅데이터와 인공지능, VR 등 이른바 ‘4차산업혁명’과 ‘지능정보사회’에 관한 담론과 기술 변화, 유튜브 등 알고리즘 기반 디지털 플랫폼의 대중적 이용 확산 등은 미디어 교육 환경의 변화와 더불어 새로운 현안들을 제기하고 있다.

11) 지속적으로 변화하는 미디어 환경, 학교 교육 및 평생 교육의 여건과 현안, 학습자 대상의 미디어 경험과 이해 및 요구를 파악하고 관련 정책 및 연구 결과와 지식을 학습해 나가는 것, 교육을 위한 새로운 기술 도구와 자료의 업데이트와 적용은 미디어 교육자에게 주어지는 도전이다.

12) 변화하는 시대를 살아가는 다른 교육자들과 마찬가지로, 미디어 교육자들 역시 관련 전문가와의 연결, 동료 교육자들과의 연결을 통한 지속적인 학습과 서로에 대한 지지와 공감, 성찰, 문제 해결이 필요하다.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Twitter picture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Twitter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