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전문가인 김아미 박사님의 좋은 글 추천합니다.
“초등 1학년 아이도 ‘사이버 불링’ 이해해야”
“디지털 경험 역시 아이가 홀로 시작하도록 내버려두기보다는, 성인 보호자나 부모가 함께 활동을 시작해보면서 건강한 디지털 생활의 초석을 놓아주어야 한다. (…) 아이가 6~8살이 되면 특정인을 사이버상에서 집단적으로 따돌리거나 집요하게 괴롭히는 행위인 ‘사이버 불링’, 여성이 피해자로 노출되기 쉬운 사이버 불링의 유형인 ‘온라인 그루밍’ 등 아이들과 좀 더 구체적인 주제에 관해 이야기를 시작해야 한다.”
제가 초등학교 3학년 아이에게 아직 스마트폰을 사 주지 않은 이유는 관리의 어려움 탓도 있지만, 부모의 도움을 받지 못한 채 디지털 세상으로 성큼 들어가버리는 것을 염려하기 때문입니다. 언젠가는 저도 스마트폰을 사주게 되겠지만, 지금은 집에서 제가 쓰던 아이패드를 아이에게 적합하게 세팅해 다양한 앱을 사용해 보고, i-message로 저와 문자와 이미지, 음성을 주고받는 온라인 대화를 시작하면서, 디지털적인 소통 방식을 공유하며 아이와 경험을 나누는 데 초점을 두고 있습니다.
아이들의 단톡방은 학교 생활의 연장선상에 있기 때문에, 학교에서 아이들의 놀이를 관찰하고 안전하고 즐겁게 놀 수 있도록 선생님들이 지도하시는 것처럼, 단톡방에 대한 규칙도 학교와 학급 차원에서 마련하는 것이 필요하다고 봅니다. 어른이 초대되거나 지켜볼 수 없는 일정 인원 이상의 단톡방은 허가하지 않는 것도 필요하다고 봅니다. 학교 차원에서 적극적으로 학교 홈페이지를 통한 학년과 학급 알림장을 운영해서, 감정 낭비가 심한 부모들의 단톡방 필요성을 줄이는 노력도 필요하다고 봅니다.
김아미 박사님의 글을 꼭 읽어보시고 자녀 혹은 지도하시는 학생들의 놀이와 대화 문화의 차원에서 디지털 이용 문화를 점검하고 지속적 관심을 가져주시기 바랍니다.
Like this:
Like Loading...
Published by 정현선(Hyeon-Seon Jeong)
경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및 미디어리터러시연구소 소장. 미디어 교육 분야로 영국 University of London Institute of Education(현 UCL Institute of Education)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어린이와 청소년의 미디어/디지털 리터러시, 학교 안팎의 미디어/디지털 리터러시 학습과 실천을 위한 교육, 교수학습, 교재 및 정책 개발, 교사 교육과 디지털 페어런팅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와 교육을 하고 있다.
Professor of Media literacy at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Director of the Center for Media Literacy Research,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outh Korea.
I received my Ph.D. in media education at the University of London Institute of Education(currently, UCL Institute of Education). My main research interests include children and young people's media and digital literacy practices in and out-of-school settings; teacher education and classroom practices for literacy and media literacy education; digital technology, media resources and textbooks for literacy and media literacy education, curriculum and policies for media and digital literacy; and digital parenting. I am the founder of the Center for Media Literacy Research at the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orking together with colleagues with multidisciplinary backgrounds for new approaches to media literacy in the age of digital transformation.
View all posts by 정현선(Hyeon-Seon Je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