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19 미디어 정보 리터러시 국제 컨퍼런스 (2019.11.28-29, 프레스센터)

2019 미디어 정보 리터러시 국제 콘퍼런스의 웹사이트가 마련되었습니다. 관심 있는 분들의 참여를 바랍니다. 참가 신청을 여기(http://mil.or.kr/)에서 하실 수 있습니다.

제가 발표자로 참여하는 프로그램은 2일차의 ‘디지털 플랫폼 시대, 유튜브와 미디어 리터러시’ 세션과, ‘유튜브의 추천 알고리즘을 만들어 보자!’라는 이름의 워크숍입니다. 이 세션과 워크숍은 서로 짝을 이루는 프로그램으로, 세션에서는 워크숍에서 다룰 내용의 배경, 개발 및 준비 과정, 벨기에와 한국 연구팀의 구성과 협력 과정 및 워크숍 진행 방법에 대해 이야기 나누고 청중과의 질의 응답을 하게 됩니다. 이 세션과 워크숍은 저와 함께, 허경 교수(경인교육대학교 컴퓨터교육과/미디어리터러시연구소), 김아미 박사(경기도교육연구원), 오연주 박사(한국정보화진흥원), 최민영 선임(인천시청자미디어센터), 김광희 교사(시흥서촌초등학교, 경인교대 박사과정), 벨기에 나뮈르대학교의 Jerry Jacques 박사, Anne-Sophie Collard 교수, Jeremy Grosman(박사과정), Action Medias Jeune의 활동가인 Maxime Verbesselt, Valentine Francois선생님이 함께 진행합니다.

지금부터 저는 이 세션과 워크숍의 막바지 준비에 집중하며 바쁘게 보내게 될 것 같습니다. (이 세션에 참여하는 참가자 가운데 3인의 초청은 경인교육대학교 국제협력연구지원사업의 도움을 받았습니다.)

저는 지난 봄부터 자문위원의 한 사람으로 활동하면서, 이 분야의 석학으로 학교 안팎의 다양한 실천을 기반으로 연구를 해 오신 Julian Sefton-Green 교수님을 키노트 스피커로 모시고, 캐나다 MediaSmarts의 Mathew Johnson 선생님을 섭외하고, 2일차 세션을 벨기에의 Jerry Jacques 박사님 등과 국내 연구자, 실행자들이 함께 진행하도록 계획하는 등, 연구를 기반으로 한 미디어 리터러시 실천과 실천에 기반한 미디어 리터러시 연구를 하는 (국내에는 잘 알려져 있지 않았던) 해외 참가자 섭외와 협력에 많은 노력을 기울였습니다. 일회적으로 끝나지 않는, Glocal을 지향하고 실현하는 의미있는 행사가 될 거라고 감히 말씀드립니다.

콘퍼런스에 오셔서 의미 있는 정보와 대화를 나누고 학교급, 지역, 국가의 경계를 넘어 연구와 실천을 돌아보고, 함께 협력하고 연대하며 앞으로 나아갈 수 있는 길을 모색하는 시간이 되면 좋겠습니다.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Twitter picture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Twitter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