아이와 자주 주고받는 이야기인데, 이런 개념으로 설명이 가능하구나. 가끔 아이에게 이야기를 해 준다.
엄마는 학교 다닐 때 인기 있는 아이가 아니었어. 영혼이 통하는 소울 메이트는 초등학교 6학년이 되어 처음 생겼어. 그런데 그 친구는 지금은 미국에 살아서 2-3년에 한 번밖에 못 만나. 그래도 여전히 친해. 엄마에게 친한 친구들이 더 많아진 건 고등학교 때였고, 대학을 졸업하고 일을 하면서 만난 사람들 중에 친해진 사람들도 많아. 그리고 너하고 정말 마음이 통하는 사람은 지금 이 나라에 없을 수도 있어. 엄마도 책을 보고 논문을 보다가 같이 공부하고 싶은 선생님이 생겨서 유학을 갔던 런던에서 같은 가치를 가진 친구들을 만났어. 중요한 건 네가 어떤 생각을 하고 행동하느냐란다. 그릭고 모두와 친해지려고 하기보다는 그냥 친절한 사람이 되면 된단다. 이해하기 힘든 사람이나 사건이 생기면 의논하자.
다행히 아이는 친한 친구도 있고, 무리에 끼어 놀기도 하지만, 자기 주관도 있는 것 같다. 이런 관계에 대한 이해와 사회성 기술 훈련이 학교에서도 제대로 이루어졌으면 좋겠다. 솔직히 초중등 교육에서는 인공지능에 대한 이해보다 인간 심리와 사회적 관계 기술이 훨씬 더 중요하다고 생각한다.
https://binmaum.blogspot.com/2019/11/10-marilyn-price-mitchell.html
Like this:
Like Loading...
Published by 정현선(Hyeon-Seon Jeong)
경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교수 및 미디어리터러시연구소 소장. 미디어 교육 분야로 영국 University of London Institute of Education(현 UCL Institute of Education)에서 박사학위를 받았다. 어린이와 청소년의 미디어/디지털 리터러시, 학교 안팎의 미디어/디지털 리터러시 학습과 실천을 위한 교육, 교수학습, 교재 및 정책 개발, 교사 교육과 디지털 페어런팅 등에 관심을 갖고 연구와 교육을 하고 있다.
Professor of Media literacy at Department of Korean Language Education and the Director of the Center for Media Literacy Research,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South Korea.
I received my Ph.D. in media education at the University of London Institute of Education(currently, UCL Institute of Education). My main research interests include children and young people's media and digital literacy practices in and out-of-school settings; teacher education and classroom practices for literacy and media literacy education; digital technology, media resources and textbooks for literacy and media literacy education, curriculum and policies for media and digital literacy; and digital parenting. I am the founder of the Center for Media Literacy Research at the Gyeongin National University of Education, working together with colleagues with multidisciplinary backgrounds for new approaches to media literacy in the age of digital transformation.
View all posts by 정현선(Hyeon-Seon Jeong)