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우리가 받고 생성하는 메시지에 대한 적극적인 질문과 비판적 사고를 요청합니다.”
[인용 출처 표기] “The Core Principle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National Association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Nov. 2007, namle.education/resources/core-principals. Accessed [date] (ex. “Accessed 6 July 2020”).
Click to access NAMLE-Core-One-Sheet.pdf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학생의 관점을 다른 사람의 관점(이 글을 읽는 여러분 자신, 교사, 미디어 비평가, 미디어 전문가 등)으로 대체하기 위한 것이 아닙니다.
학생들이 스스로 미디어를 비판적으로 분석할 수 있는 기술을 공유하지 않고 특정한 미디어 비평을 공유하는 것은 건강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실천이 아닙니다.
따라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비판적인 탐구 기술을 가르치기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한 비디오, 영화, 책, 또는 이러한 목적으로 만들어진 다른 교육과정 자료들을 학생들에게 제공하는 것을 포함해야 합니다.”
Click to access Core-Principles.pdf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하는 교사는 특정 메시지에 편견이 있는지 묻도록 학생들을 훈련시키지 않습니다.
모든 미디어의 메시지는 편향되어 있기 때문입니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하는 교사는 편향의 내용, 출처 및 그것의 함의가 무엇인지에 대해 질문합니다.”
Click to access Core-Principles.pdf
National Association for Media Literacy Education에서 제시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핵심 원리 가운데, 요즘 특히 중요하게 여겨지는 부분을 인용해 보았습니다.
팩트와 팩트가 아닌 것을 가려내는 것을 가려내는 것은 당연히 중요하지만, 팩트를 말하고 있는 미디어라고 해서 편향이 없는 것이 아닙니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팩트를 말하면 믿을 만한 메시지라고 생각하도록 가르치는 것이 아니라,
팩트를 말하는 미디어에도 편향이 담겨 있다는 것을 이해하고,
자신이 접하는 미디어 메시지에 대해 어떤 편향이 담겨 있는지,
그 편향은 어디에서 비롯되는지,
그것이 갖는 함의는 무엇인지에 대해 질문하는 비판적 탐구의 자세와 방법을 가르치는 것입니다.
팩트체크 자체가 미디어 리터러시인 것처럼 오해될 수 있는 점에 대해 NAMLE에서 아주 명료하게 입장을 밝혀주고 있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