챗GPT와 디지털 문해력 – 한겨레 21 기사 (2023.3.23.)

문해력이 더 필요하다. https://naver.me/F0wDHOTS

15살 청소년이 챗지피티 활용해 작문해보니 https://naver.me/xWi7Le4c

우리나라 학생들 문해력도 양극화? https://naver.me/FLK0izN4

챗GPT가 보여준 삶의 불확실성 https://n.news.naver.com/article/036/0000047948

(가칭) 충북학교미디어교육센터 미디어 체험 전시 공간기획 및 교육 프로그램 개발 연구 (충청북도교육연구정보원, 2021).

경인교육대학교 미디어리터러시연구소에서는 2023년 말 청주에 개관하게 될 (가칭) 충북학교미디어교육센터의 미디어 체험 전시 공간 기획 및 운영 방안 개발, 그리고 충북학교미디어교육센터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 방향 및 모형의 실제 탐색을 목적으로 한 ” (가칭) 충북학교미디어교육센터 미디어 체험, 전시 공간 기획 및 운영 프로그램 개발” 연구를 수행했습니다(연구 기간: 2021년 6월~12월, 발주 기관: 충청북도교육연구정보원).  

관련 내용: 경인교대 미디어리터러시연구소 홈페이지

최종보고서

UBC MET: Children Learning to Read Digital Data as ‘Texts’ (어린이들은 어떻게 디지털 데이터를 ‘텍스트로’ 읽는 법을 배울 수 있을까?) – 브리티시콜롬비아대학교 교육공학 석사과정 대학원 특강 (2023.2.21.)

캐나다 브리티시콜롬비아대학교의 방문교수로서, 교육공학 석사프로그램에서 진행하는 Anti-racism Speaker Series 특강에 초청받아 어린이들의 비판적 알고리즘 리터러시 교육 사례에 대해 발표했습니다.

이 세션은 2023년 2월 21일에 녹화되었습니다.

프레젠테이션 슬라이드 다운로드: http://bit.ly/3Ze4s0q
방문: https://met.ubc.ca/speaker-series
트위터: https://twitter.com/UBCMET
페이스북: https://www.facebook.com/UBCMet

호주와 한국 어린이들의 미래 기술 전망 프로젝트 (Envisioning Technologies of the Future with Australian and Korean Children)

“호주와 한국 어린이들의 미래 기술 전망(Envisioning Technologies of the Future with Australian and Korean Children)”(AKF00864)이라는 흥미로운 디지털 예술 창작 프로젝트를 호주 Wollongong대학교(주관 대학교), 퀸즐랜드공과대학교와 경인교대가 시작합니다.

호주 디지털 어린이 연구소(ARC of Excellence for the Digital Child)의 호한재단 지원 사업 선정 소식이 공식 발표되었습니다.

창의적이고 성찰적인 관점과 방법론으로 어린이와 함께 미래 기술을 탐구하는 즐거운 디지털 프로젝트가 될 것 같습니다. 프로젝트의 개요는 다음과 같습니다.

“팬데믹 시대의 학교 – 부모는 학교에 무엇을 기대하게 되었을까?”

인용: 정현선 (2022). “팬데믹 시대의 학교 – 부모는 학교에 무엇을 기대하게 되었을까?”, 넥스트리터러시리뷰(NXR) 제3호 특집 관점 1, http://www.nextliteracy.co.kr/news/articleView.html?idxno=10073

[오픈넷 특강] “미디어 리터러시의 기초와 핵심: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사고와 실천을 어떻게 해야 할까?” (2022. 4. 5.)

[오픈넷 미디어 리터러시 월례 특강]
1강 – 미디어 리터러시의 기초와 핵심: 미디어에 대한 비판적 사고와 실천을 어떻게 해야 할까?
– 강사: 정현선 교수(경인교육대학교 국어교육과)
– 일시: 2022년 4월 5일
– 자료집 보기: https://opennet.or.kr/20790

“궁금하지만 물어볼 데 없는 양육 노하우: 뱃속부터 디지털, 알파세대를 위한 스크린 사용법” (중앙일보*카톰, 2022)

카톰(전국미디어리터러시교사협회)과 중앙일보가 함께 하는 디지털 페어런팅 연재 기사입니다. “부모 미디어 교육을 위한 소셜 리빙랩” 연구의 공동연구원이었던 김광희 선생님, 퍼실리테이터가 되어 주셨던 박유신 선생님이 핵심 사항들을 잘 안내해 주셨습니다.

1. 스크린 보는 데도 문해력이 필요하다고요?

2. 연령별 시청 가이드 : 24개월 이하

3. 연령별 시청 가이드 : 만 2~9세

4. 좋은 콘텐트, 어떻게 고르죠?

5. 알아두면 요긴한 꿀팁 3가지

6. 상황별 고민 Q&A

기사 바로가기: https://www.joongang.co.kr/atoz/15?fbclid=IwAR14YEeMQq_kW5b2L9jMQNvGsWOIXIADOA7Y6VvN3NhsETkNZWE3s9x3iws&fs=e&s=cl

“청소년 미디어 교육 지원을 위한 부모 참여 중심 소셜리빙랩 운영 방안”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청소년 미디어 이용 실태 및 대상별 정책대응방안 연구 2: 10대 청소년”(연구책임자: 배상률)의 협동 연구로 진행된 “청소년 미디어 교육 지원을 위한 부모 참여 중심 소셜리빙랩 운영 방안”(연구책임자: 정현선)의 보고서가 발간되었습니다.

이 보고서는 학교 미디어 교육 지원 플랫폼인 ‘미리네‘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보고서 다운로드 링크

이 연구는 부모들이 어린이와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교육의 참여자로서의 실천적 경험을 공유하면서,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이해를 주도적으로 재구성하고 확장할 수 있는 부모 교육의 기회를 만들어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아, 부모 참여형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는 ‘소셜 리빙랩’ 방법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습니다.

팬데믹 상황에서 더욱 앞당겨진 디지털 전환 시대에 적합한 어린이와 청소년의 가정 내 미디어 이용 지도를 위해 부모들에게 일방적인 지침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부모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새로운 부모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진화하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사회 문화 속에서 어린이와 청소년의 연령층과 특성에 따라 자녀들의 미디어 이용에 대해 최신 연구 결과에 근거한 새로운 부모 교육의 내용과 방법이 마련될 필요가 있습니다.

이 연구는 체계적 문헌 연구와 국내외 전문가 자문 및 연구진 숙의를 바탕으로 한 소셜 리빙랩 연구의 설계와 실행 방법을 적용하여 이루어졌습니다.

소셜 리빙랩은 1) 생활 환경을 더 나은 방향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2) 정책 및 공공 서비스 제공과 관련한 문제 해결 및 의사결정 과정에서 3) 시민에 대한 권한 부여를 장려하고 연구자, 시민, 기타 지역사회 행위자와 공동으로 지식을 구축하는 지역사회 관여형 연구방법론입니다.

이 연구는 1) 부모 참여자 모집과 선정, 2) 부모 참여자 대상 설문 및 인터뷰 질문 항목의 설계, 3) 자녀의 미디어 중재자로서 부모의 이해 증진을 위한 소셜 리빙랩 프로그램의 운영, 4) 소셜 리빙랩 프로그램의 자료 수집과 분석 및 집필의 네 단계로 이루어졌습니다.

자세한 연구의 내용과 결과 및 정책 제언은 보고서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