Books
- “유엔아동권리위원회 일반논평 제25호 “디지털 환경에서의 아동권리”: 주요 내용과 시사점. 아동의 관점으로 보는 디지털 전환 (대한민국 디지털로 회복전략 제8권). 한국지능정보사회진흥원, 2022.
- ‘K-Education’ during the Pandemic: What Covid-19 has revealed about schooling in the most wired country in the world. (with Jiwon Yoon & Amie Kim), The Routledge Handbook of Media Education Futures Post-Pandemic (edited by Yonty Friesem, Usha Raman, Igor Kanižaj & Grace Y. Choi), Routledge, 2022.
- 디지털 환경에서의 아동 권리와 팬데믹 시대 부모 미디어 교육의 새로운 방향 모색. 포스트 코로나 시대 미래 교육, 지식과감성, 2022.
- Critical Algorithm Literacy Education in the Age of Digital Platforms: Teaching children to understand YouTube recommendation algorithms (with Yeonju Oh & Amie Kim), Learning to Live with Datafication: Educational Case Studies and Initiatives from Across the World (edited by Luci Pangrazio & Julian Sefton-Green). Routledge, 2022.
- Z세대를 위한 디지털 리터러시 교육 (공저), 민들레, 2020.
- 저널리즘의 미래 리포트: 전환의 시대, 저널리즘의 위기와 도전 (공저). 미디어오늘, 2020.
- 온라인 수업의 모든 것 (공저), 지식프레임, 2020.
- Media Literacy in South Korea (with Jiwon Yoon & Amie Kim), The International Encyclopedia of Media Literacy(edited by Renee Hobbs & Paul Mihailidis), Wiley, 2019.
- Literacy practices and popular media culture in the “over-schooled” society, in Learning Beyond the School: International Perspectives on the Schooled Society (edited by Julian Sefton-Green & Ola Erstad), Routledge, 2019.
- 지능정보사회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4차 산업혁명시대, 교육(공저), 책과 공간, 2018.
- SNS에서 웹툰까지: 슬기로운 미디어 생활, 우리학교, 2018 (권혜령 외 공저)
- 시작하겠습니다, 디지털 육아, 우리학교, 2017.
- 국어 교육의 이해(개정3판)(공저). 사회평론사, 2016.
- The digital textbook in South Korea: Opportunities and challenges, in New Media and Learning in the 21st Century: A Socio-Cultural Perspective (edited by Tzu-bin Lin, Der Thang Victor & Ching Sing Chai). Springer. 2015 (first author)
- Media Education in South Korea: History, Dynamics and Challenges. in Media Education in Asia (edited by Chi-Kim Cheung), Springer. 2009.
- History, policy and practices of media education in South Korea, in Mapping Media Education Policies in the World. (edited by Divina Frau-Meigs and Jordi Torrent). United Nations Alliance of Civilizations, UNESCO, European Commission & Grupo Comunicar, 2009. (first author)
- 영상 이미지, 어떻게 가르칠까? 초등 교사를 위한 영상 언어 교육 길라잡이 (이미숙, 기성윤과 공저), 학지사, 2010..
- 매체언어와 국어교육(윤여탁 외 공저), 2008.
- 미디어 교육과 비판적 리터러시, 커뮤니케이션북스, 2007.
Translations
- 리터러시의 진화: 비판적 미디어 교육을 위한 교실 수업 방법 (원제: Literacy Moves On) [구: 읽기 쓰기의 진화]. 사회평론사. 2022.
- 미디어 교육 선언(원제: Media Education Manifesto). 학이시습. 2019(공역).
- 디지털 네이티브 그들은 어떻게 배우는가(원제: Teaching Digital Naitives). 사회평론사. 2019 (공역).
- 전자매체 시대의 아이들(원제: After the Death of Childhood). 우리교육. 2004.
Scholarly articles
- 학교 미디어교육 정책 추진 과정에 대한 탐색적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교육논총 42권 4호, pp.127-143. (2022.12.31.)
- Pandemic Screen Time: An Analysis of Parenting Practices Connected with Children’s Use of Media in South Korea and the United States during the COVID-19 Pandemic (co-authors: Amie Kim, Hyeon-Seon Jeong, Rebekah Willett, Ju Lim, Mi Yoon & Gwanghee Kim), 경인교육대학교 교육연구원 교육논총 The Journal of Education, 42(3): 81-96 (2022.9.30.)
- 디지털 미디어 문해력 교육의 국어과 교육과정적 함의, 청람어문교육 88, 2022. (정현선, 장은주 공저) http://dx.doi.org/10.26589/jockle..88.202207.7
- 디지털 환경의 학습자를 위한 학교 미디어 교육 정책 분석 및 제언, 우리말교육현장연구 15(2), 2021. (정현선, 장은주 공저)
- Social Networks for the Next Media Literacy, Journal of Information Studies no.101, 2021. (공저) [Video Link]
- 인공지능 시대의 미디어 리터러시의 오래된 과제와 새로운 과제. 새국어교육 125호. 2020.
-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서 비판적 사고를 위한 정보의 가치 판단 기준과 판단 절차의 알고리즘화에 관한 연구. 교육논총 40(4), 2020. (공저)
- “In the Shoes of an Algorithm”: A Media Education Game to Address Issues Related to Recommendation Algorithms. The Journal of Education. 3(1), 37-62, June 2020. http://dx.doi.org/10.25020/JoE.2020.3.1.37 (co-authored with Jerry Jacques, Jeremy Grosman, Anne-Sophie Collard, Yeonju Oh and Amie Kim)
- 비판적 사고를 위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과 컴퓨팅 사고의 융합. Journal of Korean Culture 48. 2020. (공저)
-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평가 방법에 관한 연구: 호주 Pearson 출판사의 7-10학년 영어 교과서와 교사용 지도서의 사례를 중심으로. 교육논총 39(2). 2019.
- 초등 국어 교과서에 반영된 미디어 리터러시 학습 내용에 대한 비판적 고찰. 한국초등국어교육 65. 2018.
- 뉴스 리터러시를 위한 중학교 교과서 단원 모형 개발 연구. 우리말교육현장연구 11(1). 2017. (공저)
- 청소년 언어 문화 실태 연구: 구어 의사소통을 중심으로. 국어교육 159. 2017. (공저)
- 핵심역량 중심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내용 체계화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11). 2016. (공저)
- 웹툰으로 상상하기: 중학교 웹툰 중심의 융합 교육 프로젝트. 만화애니메이션 연구 45. 2016. (공저)
- 방과 후 돌봄 형태에 따른 매체 문식 활동과 인식 차이에 관한 연구. 학습자중심교과교육연구 16(8). (공저)
- 초등학생의 학교 밖 문식 활동 빈도의 종단적 변화와 예측 요인 탐색. 국어교육 153. 2016. (공저)
- 중학교 자유학기제 국어과 수업의 교육과정 재구성 및 수업 개선 사례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19(2). 2016. (공저)
- 초등학교 6학년 남학생들의 인터넷 만화 카페 활동에 관한 사례 연구. 우리말교육현장연구 9(2). 2015. (공저)
- 언어영재 교육 프로그램의 개발과 적용 사례 연구. 국어교육 149. 2015.
- 초등학생의 학교 밖 문식 활동 모형 연구: 부모, 교사, 학생 특성의 영향. 국어교육 148. 2015. (공저)
- 초등학생의 매체 문식 활동에 관한 조사 연구. 독서연구 33, 2013. (공저)
- 복합양식 문식성 교육의 의의와 방법. 우리말교육현장연구 8(2). 2014.
- 문식 활동 지원자로서 부모와 교사에 대한 초등학생의 인식에 관한 조사 연구, 국어교육 146, 2014.
- 초등학생의 학교 밖 문식 활동의 빈도, 이유, 가치 부여에 관한 연구. 국어교육연구 32, 2013. (공저)
- 초등학생의 학교 밖 문식 활동 조사 연구. 독서연구 30. 2013. (공저)
- 스마트 교육 환경의 협력적 매체 제작 및 글쓰기 수업에 대한 사례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 53. 2013.
- SNS의 언어 현상과 소통 공간에 관한 국어교육적 고찰. 국어교육 142. 2013.
- 초등학교 6학년 듣기·말하기 수업을 위한 디지털교과서의 활용 사례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16(2). 2013.
- ‘도구’ 활용의 중요성을 중심으로 한 국어과 디지털교과서 교수·학습 활동의 비판적 검토와 제언. 국어교육 140. 2013.
- 미디어를 보는 관점에 따른 유아 교육 분야 미디어 관련 연구 동향 분석. 어린이미디어연구 11(2). 2012.
- 매체언어 교육 단원 개발과 수업 실행에 관한 연구: 초등학교 6학년 국어 교과서의 뉴스 단원을 중심으로. 한국초등국어교육 48. 2012.
- 다문화 교육을 위한 미디어 콘텐츠 ‘올리볼리 그림동화’에 관한 연구. 문학교육학 36. 2011.
- NIE의 체계적 실행을 위한 교육과정 개발에 관한 연구. 교육과정평가연구 14(2). 2011.
- 다문화 교육을 위한 미디어 콘텐츠 ‘올리볼리 그림동화’에 관한 연구. 문학교육학 36. 2011.
- 이야기의 문화적 가치 탐구를 중심으로 한 컴퓨터 게임 서사 교육에 관한 고찰, 문학교육학 28, 2009.
- 디지털 시대 글쓰기에 있어 ‘표현 도구’와 ‘매체 특성’ 이해의 필요성: 초등학교 어린이의 사진과 글에 대한 분석을 중심으로. 어문학 106, 2009.
- 학급문집 만들기 프로젝트의 맥락에서 이루어진 사진과 글을 통한 초등학교 저학년 어린이들의 표현과 소통. 국어교육학연구 36, 2009.
- 학습만화 <초등과학 학습만화 WHY? 시리즈>와 <살아남기 시리즈>의 스토리텔링 방식과 독자 인식에 관한 연구. 독서연구 21. 2009. (공저)
- 매체언어 교육의 관점에서 본 초등학교 어린이들의 애니메이션 서사 수용에 관한 연구. 교과교육학연구 11(1), 2007.(공저)
- 기호와 소통으로서의 언어관에 따른 매체언어교육의 목표에 관한 고찰. 국어교육연구 19, 2007.
- 어린이 대상 영상 창작 교육의 국어교육적 함의, 한국초등국어교육 30, 2006.
- 초등학교 저학년 문학 수업에 대한 실행 연구: 그림책 수업 담화 분석을 중심으로. 문학교육학 21, 2006. (공저)
- ‘언어, 텍스트, 매체, 문화’ 범주와 ‘복합 문식성’ 개념을 통한 미디어 교육의 국어교육적 수용에 관한 연구, 한국초등국어교육 28, 2005.
- 디지털 리터러시의 국어교육적 고찰. 국어교육학연구 21, 2004.
그 외 다수.
Ph.D. thesis
- Theory, practice and ’empowerment’ in media education A case study of critical pedagogy (University of London Institute of Education, 2001.11.) Download her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