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팬데믹 시대의 학교 – 부모는 학교에 무엇을 기대하게 되었을까? (넥스트리터러시리뷰(NXR) 제3호, 2022.11.11.)
- 부모 미디어 교육을 위한 소셜 리빙랩 운영 연구의 성과와 과제 (미디어 교육 국제 세미나,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경인교대 시민교육역량강화사업단, 2022.1.20.)
- 학교 미디어 교육, 발판 마련됐다 (미디어오늘, 2021.12.03.)
- 어린이 보호구역, 디지털 세상에도 있나요? (경향신문 2021.11.18.)
- “세종대왕이라면 지금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부터 했을 겁니다.”: 인터뷰 –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이슈 리포트 펴낸 정현선 교수. (한겨레 2021.11.16.)
- 스마트폰 일상 된 ‘신문맹’ 아이들 미디어, 피할 수 없다면 잘 배울래. (서울신문 2021.11.02.)
- 허위정보 혐오표현 시대, ‘AI 교육’이 최선인가. (미디어오늘 2021.10.19.)
- 디지털 환경에서의 어린이 권리와 미디어교육 입법의 필요성 (인천시청자미디어센터 뉴스레터, 2021.4.30.)
- 어린이의 권리는 디지털 세상에서도 중요하다! 유엔 ‘디지털 환경 관련 아동 권리에 대한 일반 논평 제25호’ 의미와 과제 (미디어 리터러시, 2021.4.16.)
- 팬데믹 시대, 다시 돌아보는 어린이의 스크린 타임 (인천시청자미디어센터 뉴스레터 2021년 3월호, 2021.3.31.)
- 어린이 청소년 미디어 이용 실태 및 미디어 리터러시 정책 세미나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경인교대 시민교육역량강화사업단, 경인교대 미디어리터러시연구소, 2021.01.29)
- 디지털 시대 교육, 맥락 읽는 눈을 길러주자 (주니어미디어오늘 2021.3.19.)
- 미디어 리터러시 핵심은 글쓴이 의도를 파악하는 것 (주니어미디어오늘 2020.12.21.)
- 국민 가짜뉴스 팩트체크 교육? 이게 최선일까 (미디어오늘 2020.9.6.)
- 저널리즘의 미래, 고양이와 경쟁해선 답이 없다 (미디어오늘, 2020.9.5.)
- [포스트 코로나 시대-인천 미래교육 방향은] 낙오없는 ‘온라인 학습’ 상호작용 ‘대면수업’ 장점 섞어야 (인천일보, 2020.6.2.)
- 코로나19, 미래교육을 묻다 (인천광역시교육청, 2020.5.14.)
- 미디어교육 석학 인터뷰: 줄리안 세프톤-그린 호주 디킨대 교수 “학교와 학교 밖 미디어교육 함께 해야 효과적” (미디어리터러시 2020.4.22.)
- 성착취물, 부모보다 청소년 손에 더 가깝다[이슈진단+, 음란물 범람 현황과 대책(상)] (ZDNet Korea, 2020.4.13.)
- 온라인 수업은 우리 모두의 일입니다: 코로나 19 시대 교육계를 응원하며 (2020.4.7.)
- 지역KBS에서 미디어 제대로 보는 법 가르친다면?: 방송학회 세미나, 공영방송 지역국 미디어센터 만들고 ‘시청자 참여 활성화’ ‘리터러시 교육’ 제안. (미디어 오늘, 2019.12.16)
- “유튜브만 보는 초딩, 차라리 TV 봤으면…” 속 끓는 부모들: “보지마” 막는 시대 끝… 미디어 리터러시 먼저 길러줘야. (국민일보, 2019.12.10)
- 경인교대,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연구협력 위한 해외학자 초청 세미나’ 개최. (에듀인뉴스, 2019.12.2.)
- “학교 교과에 ‘미디어’ 명시…Z세대 ‘디지털 시민성’ 길러야” (한겨레신문, 2019.9.3.)
- 아직 낯선 ‘미디어 리터러시’, 학교 교육에 어떻게 반영될까? (YTN 2019.8.29.)
- 미디어 리터러시를 학교 교육과정에 어떻게 반영할 것인가[세미나 자료집](한국초등교육학회, 경인교육대학교 시민교육역량강화사업단, 한국언론진흥재단 공동주최 세미나, 한국프레스센터, 2019.8.28.)
- 디지털 환경의 미디어 리터러시와 시민성 교육 국제 세미나 [세미나 후기] (최원석, 신문과방송 2019년 8월호)
- 아이들의 능동성에 대한 믿음을 바탕으로 한 미디어교육 돼야: 미디어교육 전문가 데이비드 버킹엄 교수 인터뷰. 미디어리터러시 제4호(2018)
- 네이버, AI 활용, 아이들 위한 ‘동화 만들기’ 서비스 시작. (전자신문, 2018.12.27)
- 엄마가 먼저 앱을 지웠어요: 우리 가족 디지털 미디어 스마트하게 사용하는 방법. 영락교회 소식지 “만남” 2018년 5월.
- 디지털 네이티브인 내 자녀, 어떻게 키워야 할까. 조선에듀 2018.5.15.
- 아이가 유튜브를 시작했다! 디지털 페어런팅을 위한 부모 가이드. 베스트베이비 2017년 12월호.
- 유튜브에 빠진 초등생, “안보면 말 안 통해요.”: 카톡 페이스북 네이버 등 5개앱 합쳐도 유튜브만 못해. (국민일보, 2018.7.16.)
- 부모를 위한 유튜브 시청 가이드라인. 베스트베이비 2017년 12월호.
- ‘부모가 알아야 할 디지털 육아’. [세상을 바꾸는 시간 15분], 2017.11.14.
- 미디어 리터러시는 면역력이다: 미디어 교육 전국대회 토크 콘서트 지상중계.미디어 리터러시 웹진 2017.11.17. 한국언론진흥재단.
- 2017-11-17 미디어 교육 컨퍼런스 발표(정현선), [2017 시청자미디어재단 미디어 교육 컨퍼런스], 2017.11.18.
- [자유학기제-2017.10월호] 정보 홍수 시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으로 올바른 안목 키워야. 에듀팡 교육뉴스 2017.10.13.
- 디지털 베이비, 스마트폰 두 살부터 사용한다 ([격월간 민들레] 스마트한 시대의 따뜻한 디지털 육아). [프레시안], 2017.8.16.
- 휴대폰 없이 아이와 떠난 휴가, 첫날부터 ‘폭망’했다. 한겨레. 2017.8.8.
- 현장 교, 강사의 미디어 리터러시 인식 조사: 책임 있는 미디어 교육 중요, 교육 활성화 위해 수업 자료 보급 필요. 미디어 리터러시 웹진 2017년 창간호. 한국언론진흥재단.
- 21세기엔 검색도 실력 “스마트폰 뺏지 마세요”. 한국일보. 2017.6.5.
- “가정에서 스마트폰 사용법 가르쳐야 공부 잘한다”. 주간동아 1092호. 2017.6.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