책임 연구
- 청소년 미디어 교육 지원을 위한 부모 참여 중심 소셜리빙랩 운영 방안 (청소년 미디어 이용 실태 및 대상별 정책대응방안 연구 2: 10대 청소년)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 학교 미디어교육 지원 방안 연구 (성공회대 민주주의연구소, 2021)
- 2022 개정 교육과정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강화 방안 (교육부,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 “읽고 만들고 공유하다“(책 읽고 팟캐스트하자! / 책 읽고 북스타하자!) (경인교육대학교 도서관/미디어리터러시연구소, 2020)
- 청소년 미디어 이용 실태 및 대상별 정책대응방안 연구 1 – 초등학생: 해외사례 조사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0)
- 알고리즘 리터러시 교육 프로그램 개발을 위한 한국-벨기에 국제협력 연구 (경인교육대학교 대학혁신지원사업 국제협력연구 지원사업, 2019)
- 2015 개정 교육과정 교수학습자료 초등 5-6 국어 [미디어 리터러시, 한 학기 한 권 읽기, 체험 중심 연극 자료] (교육부, 인천광역시교육청, 2019)
- 대학 뉴스 활용 강좌 지원 사업 “미디어 교육론” 강좌 개발 (한국언론진흥재단, 2018)
- 초중등 교과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단원 개발 연구 (교육부, 2016)
- 뉴스 리터러시 교육 체계 확립 방안 (한국언론진흥재단, 2016)
- 미디어 문해력(media literacy) 향상을 위한 교실 수업 개선 방안 연구 (교육부, 2015)
- 제41회 경인초등국어교육학회 동계 학술발표회: 복합양식 텍스트 이해와 매체 활용 (경인초등국어교육학회, 2013.11.30, 인천산곡초등학교) [공동기획 및 지도]
- 올리볼리 그림동화 교육 매뉴얼 (다음세대재단, 2011, 2012)
공동 연구
- (가칭) 충북학교미디어교육센터 미디어 체험 전시 공간 기획 및 운영 프로그램 개발 연구 (충청북도교육정보연구원, 2021).
- 디지털 시대의 온라인 기반 인천문화예술교육 실천방법(인천문화재단, 2020)
- 디지털리터러시의 교과교육 실태 및 개선 방안 연구 (한국교육과정평가원, 2018)
- 청소년 언어문화 실태 연구(국립국어원, 2016)
- 청소년 언어문화 실태 연구를 위한 기초 조사(국립국어원, 2015)
- 초등학생의 학교 밖 문식 활동 조사 연구(한국연구재단, 2012~2015)
- 초중학교 인문사회 영재교육 프로그램 내용체계 개발 연구(한국교육개발원, 2015)
- 국어 교과서 모형 단원 개발 초등학교 5-6학년군 3: 국어 6-1 가(동아출판, 2014)
- 다음세대재단 유스보이스 미디어 교육 10년의 평가와 전망 조사 연구(다음세대재단, 2012)
- 디지털 교과서 활용 수업 모형 연구: 초등편(한국교육정보학술원, 2012) *초등 국어 담당.
- 인문사회 교육기부 컨설팅단 운영(한국과학창의재단, 2011). *미디어 교육 분야 담당.
- 게임 안으로, 게임 밖으로(한국콘텐츠진흥원, 2010). *초등 5~6학년 게임 교육 교재와 강사 지침서
- 한국언론학회 미디어 교육 교양서 및 초등 저학년, 고학년, 중학교 교재(방송통신위원회, 2007~2008).