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핵심 원칙 (NAMLE, 2023 revision)

2023 Revision of the Core Principle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NAMLE)

Core Principle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 NAMLE (원문 보기)

전미미디어리터러시교육협회(NAMLE: National Association of Media Literacy Education)에서 2023년에 개정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핵심 원칙을 기계 번역으로 옮겨 공유합니다. (DeepL 활용)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핵심 원칙

전국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협회(NAMLE)는 미디어 리터러시를 필수적인 삶의 기술로 높이 평가하고 널리 실천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미디어가 넘쳐나는 세상에서 모든 사람은 미디어와 사려 깊고 힘을 실어주는 관계를 형성하는 방법에 대한 지침을 받을 자격이 있는 소비자이자 창작자입니다.

NAMLE은 미디어 리터러시, 즉모든 형태의 커뮤니케이션에 접근하고 분석하고 평가하고 창작하고 행동하는 능력을21세기의 필수적인 리터러시로 간주합니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사람들이 비판적 사고자, 사려 깊고 효과적인 커뮤니케이터, 정보에 입각한 책임감 있는 사회 구성원이 되는 데 필요한 탐구 습관과 표현 기술을 지속적으로 개발하는 것입니다. 이러한 습관과 기술을 개발하는 것은 시민 생활에 필수적입니다.

아래의 핵심 원칙은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NAMLE의 입장을 명확히 하고 개인, 미디어, 세상을 형성하는 시스템과 구조 사이의 복잡한 역학 관계를 조명합니다. 각 원칙 아래에서 확인할 수 있는 실천을 위한 추가 시사점은 효과적인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특징을 강조합니다. NAMLE의 의도는 이러한 핵심 원칙과 실천을 위한 시사점을 통해 미국 내 삶의 모든 측면에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에 대한 인식을 높이고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을 확장하는 것입니다.

NAMLE 다음과 같은 방법으로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이 이루어지는 것이 효과적이라고 믿습니다:

1. 모든 형태의 미디어를 포함하도록 리터러시의 개념을 확장하고 사고력 있는 미디어 제작자와 소비자를 개발하기 위해 다양한 리터러시를 통합합니다.

2. 모든 개인을 기존의 지식, 기술, 신념, 경험을 활용하여 미디어 경험에서 의미를 창출하는 유능한 학습자로 상정합니다.

3. 호기심, 열린 마음, 자기 성찰적 탐구를 우선시하는 동시에 이성, 논리, 증거를 강조하는 교육 관행을 장려합니다.

4. 학습자가 끊임없이 진화하는 미디어 환경에서 경험하고, 만들고, 공유하는 메시지에 대해 적극적인 탐구, 성찰, 비판적 사고를 연습하도록 장려합니다.

5. 학습자에게 통합적이고, 교과 과정을 넘나들며, 상호작용이 가능하고, 연령과 발달 단계에 적합한 지속적인 기술 개발 기회를 제공해야 합니다.

6. 개인이 미디어를 제작하고 공유할 때 수많은 윤리적 책임을 탐색하는 참여형 미디어 문화의 발전을 지원합니다.

7. 미디어 기관이 사회화, 상업화, 변화의 주체로서 기능하는 문화적 기관 이자 상업적 실체임을 인식합니다.

8. 공익을 위한 건강한 미디어 환경 조성이 미디어 및 기술 기업, 정부, 시민의 공동 책임임을 확인합니다.

9. 형평성, 포용성, 사회 정의, 지속가능성에 대한 함의와 함께 미디어 산업이 권력 시스템에 어떻게 영향을 미치고 영향을 받는지 등 사회에서 미디어 산업의 역할에 대한 비판적 탐구를 강조합니다.

10. 개인이 민주 사회에서 정보를 얻고, 성찰하고, 참여하고, 사회적 책임을 다하는 참여자가 될 수 있도록 역량을 강화합니다.

용어집

용어집에는 이러한 핵심 원칙에 사용된 용어와 개념에 대한 자세한 정보가 포함되어 있습니다.

2023 핵심 원칙 개정

이 문서를 업데이트할 때 NAMLE 위원회는 다음 기관의 작업을 참고했습니다:

전국 미디어 리터러시 연합 조직, 미디어 리터러시 센터, 미디어스마트, 미디어 교육 연구소, 프로젝트 샤프, 정의를 위한 학습, 루이스 사회 정의 연구소, 스탠포드 역사 교육 그룹, 벨리냐 S. 드 아브레우, 닐 앤더슨, 린다 버그스마, 스펜서 브레이튼, 나타샤 케이시, 데이비드 컨시딘, 셰리 호프 컬버, 용티 프리셈, 르네 홉스, 헨리 젠킨스, 에이미 젠슨, 더글러스 켈너, 안토니오 로페즈, 폴 미하일리디스, 니콜 미라, 스리비디아 라마수브라마니아, 테레사 레드몬드, 페이스 로고, 제프 쉐어, 신디 샤베, 상기타 슈레슈토바 및 엘리자베스 토먼입니다.

최초 핵심 원칙 (2007)

최초의 핵심 원칙(2007) 은 다음과 같은 전직 및 현직 NAMLE/AMLA 이사회 멤버들에 의해 개발되었습니다: 린다 버그스마, 데이비드 컨시딘, 셰리 호프 컬버, 르네 홉스, 에이미 젠슨, 페이스 로고우, 엘라나 요나 로젠, 신디 샤이베, 샤론 셀러스-클락, 엘리자베스 토먼.

원저자들은 다음 기관의 작업에서 영감을 얻었습니다:

미디어 리터러시 협회, 영국 영화 연구소, 미디어 리터러시 센터, 온타리오 교육부 미디어 리터러시 리소스 가이드, 프로젝트 룩 샤프, 텔레비전 인식 교육, 닐 앤더슨, 프랭크 베이커, 캐리 바잘겟, 데이비드 버킹엄, 존 콘드리, 제이 프란시스 데이비스, 스탠 덴스키, 배리 던컨, 린다 엘더, 리즈 플린, Paulo Freire, John Taylor Gatto, 조지 거브너, 스티븐 굿맨, 브래들리 그린버그, 토마스 젠카렐리, 피터 헨리엇, 조 홀랜드, 스튜어트 후버, 헨리 젠킨스, 테사 졸스, 수트 졸리, 로버트 쿠비, 벤 로건, 렌 마스터맨, 배리 맥마혼, 로라 멀비, 리처드 폴, 제임스 포터, 존 푼젠테, 바이런 리브스, 데이비드 스콜레, 로잘린 실버, 아트 실버블랫, 라디슬라스 세미, 에릭 스트로멘, 크리스 스페리, 로빈 퀸, 캐슬린 타이너 및 1990 유네스코 컨퍼런스 “미디어 교육의 새로운 방향” 참가자들.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의 핵심 원칙 용어집

이 용어집은 미디어 리터러시가 발전함에 따라 변경될 수 있는 살아있는 문서입니다. 특히 복잡한 일부 항목의 경우 교육자를 위한 추가 리소스가 제공되었습니다. 이러한 추천 리소스를 최대한 계속 추가할 예정이며, 모든 교육자를 지원하기 위해 커뮤니티에서 리소스 제출을 환영합니다.

편견

불공정한 방식으로 판단에 영향을 미칠 수 있는 의식적이든 무의식적이든 편견이나 성향.

검열

메시지 또는 자료를 금지, 제거, 접근 제한 또는 삭제하는 행위.

시민권

커뮤니티 및 시민 행사에 대한 인식과 참여를 통해 소속감을 느끼고 공공의 정체성을 표현하는 것을 말합니다.

시민

사회 및 정치 구조와 관련하여 개인의 역할과 책임과 관련된 개념입니다.

규범 관습

다양한 매체는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해당 매체 고유의 특징과 기법에 의존합니다. 이러한 코드와 규칙에는 기술적 특징(예: 공포 영화의 카메라 움직임 및 조명)과 상징적 코드(예: 그래픽 소설에서 놀라움이나 회의감을 전달하기 위해 눈썹을 치켜 올리는 것)가 포함될 수 있습니다. 특정 매체의 규칙을 사용하면 청중이 의도한 대로 매체를 인식할 가능성이 높아집니다.

참조: 모듈 4: 유네스코에서 제공하는 미디어 및 정보 속 언어.

참조: 코드와 규칙 | 영어 개념 학습

인지적 인식

뇌가 정보를 경험할 때 일어나는 정신적 과정에 대한 이해.

공동 학습 교육법

교육자는 촉진자로, 학습자는 교육 경험의 공동 설계자로 자리매김하는 교육법입니다. 이러한 교육학은 ‘강단 위의 현자’라는 전통적인 교육 위계를 파괴하고 대신 교사와 학습자 간의 상호 학습이 이루어지는 환경을 강조합니다.

구성

미디어 메시지는 미디어 제작자가 메시지를 제작할 때 내려야 하는 수많은 결정과 이러한 결정을 형성하거나 동기를 부여하는 가치, 기술, 환경 및 구조의 결과물입니다.

구성주의자

학습자가 수동적으로 정보를 받아들이지 않고 지식을 구성하는 방식을 이해하고 촉진하는 것을 전제로 하는 교육 접근 방식. 학습자는 성찰과 비판적 사고를 통해 세상에 대한 기존의 생각에 새로운 지식을 통합합니다.

참조: 구성주의 – 커리큘럼, 평가 및 교육 혁신실 – University at Buffalo

참조: 프로젝트 룩 샤프의 구성주의 접근 방식

비판적 탐구

여러 가지 다양한 관점에서 아이디어, 메시지, 정보, 가정을 수집하고 분석하여 보다 합리적으로 이해하고 새로운 아이디어와 질문을 생성합니다.

비판적 미디어 리터러시

구조, 시스템, 이데올로기, 표현 및 권력을 비판적으로 검토하는 것과 관련된 탐구 기반의 미디어 리터러시 연습입니다.

참조: 켈너와 쉐어의 비판적 미디어 리터러시 프레임워크

교차 커리큘럼

여러 학문 분야를 동시에 적용하고 통합하는 것을 말합니다.

문화 기관

지식 창출, 해석, 보급을 통해 문화를 보존하거나 증진하는 데 중점을 둔 조직 및 시스템.

민주적 사회

언론, 종교, 투표, 표현의 자유 등 표현의 자유에 대한 기본권을 보장하고 견제와 균형의 시스템을 통해 각 개인의 존엄성과 평등권을 보호하는 사회.

디지털 리터러시

디지털 도구가 사회와 상호 작용하고 영향을 미치는 방식을 이해하는 데 필요한 지식, 기술 및 태도에 초점을 맞춘 미디어 리터러시의 하위 집합입니다.

배포자

미디어 콘텐츠를 대중에게 전달하는 데 도움을 주는 개인, 조직, 플랫폼 등의 단체를 말합니다.

에코미디어 리터러시

기술 발전과 미디어 제작이 생활 시스템과 물리적 환경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는 것입니다.

참조: 미디어 리터러시 저널 – 에코미디어 리터러시 이슈 – 국제 미디어 리터러시 위원회

형평성

모든 사람, 특히 소수자, 소외계층, 취약 계층을 위한 동등한 결과를 창출하는 정의와 공정성.

역사적으로 소외된 집단

사회, 정치, 문화 시스템의 불평등한 권력 역학 관계로 인해 사회의 주변부로 밀려나고 완전한 사회 참여를 거부당해 왔으며 앞으로도 그럴 가능성이 있는 그룹과 커뮤니티.

정보 리터러시

필요한 정보를 찾고, 분석하고, 평가하고, 사용하고, 반성하는 능력을 포함하여 정보가 필요한 시기를 식별하는 능력을 지원하는 일련의 기술입니다.

참조: 정보 리터러시에 관한 대통령 위원회: 최종 보고서 | 미국 대학 및 연구 도서관 협회(ACRL)

리터러시

기호를 인코딩 및 디코딩하고 메시지를 합성 및 분석할 수 있는 능력.

미디어

메시지를 전송하는 데 사용되는 모든 전자, 디지털 및 인쇄 수단.

미디어 분석

메시지를 이해하기 위해 비판적 질문을 사용하는 과정. 효과적인 미디어 분석은 다음과 같은 미디어 리터러시 개념을 기반으로 합니다:

  • 모든 미디어 메시지는 구성된다.
  • 각 미디어는 서로 다른 특징과 강점, 고유한 ‘구성 언어’를 가지고 있습니다.
  • 미디어 메시지는 특정 목적을 위해 제작됩니다.
  • 모든 미디어 메시지에는 가치와 관점이 포함되어 있습니다.
  • 사람들은 각자의 기술, 신념, 경험을 바탕으로 미디어 메시지에서 자신만의 의미를 해석합니다.
  • 미디어와 미디어 메시지는 신념, 태도, 가치, 행동 및 민주적 절차에 영향을 미칠 수 있습니다.

미디어 크리에이터

미디어와 커뮤니케이션 도구를 통해 아이디어, 가치, 감정을 표현하는 사람.

미디어 소비자

모든 형태의 미디어를 통해 미디어 메시지를 수신, 해석 또는 상호 작용하는 사람.

미디어 경험

사람들이 미디어와 상호작용하는 참여적인 특성을 강조하기 위해 사용되는 용어입니다. 미디어 경험은 미디어 텍스트(우리가 조사하고자 하는 미디어 제품)와 사람이 텍스트를 접하는 환경을 모두 설명합니다. 환경에는 미디어 텍스트를 접하는 물리적, 기술적 환경뿐만 아니라 사람들이 미디어 사용에 가져오는 다층적인 개인적, 사회적 맥락이 포함됩니다.

미디어 기관

미디어 콘텐츠, 미디어 플랫폼, 미디어 배포 채널 또는 이들의 혼합을 소유하고 제작하는 조직.

미디어 환경

환경, 형식, 소유권, 규제 및 전문적 관행을 포함하여 사람들이 소통하는 더 큰 미디어 환경.

미디어 리터러시

모든 형태의 커뮤니케이션에 접근하고, 분석하고, 평가하고, 창작하고, 행동할 수 있는 능력.

매개

대면 커뮤니케이션이 아닌 정보 또는 커뮤니케이션 도구나 기술을 통해 메시지가 전달되는 상황.

메타인지

자신의 사고와 학습 과정에 대한 비판적 인식과 이해.

참조: 메타인지 | 교육 센터 | 밴더빌트 대학교

다중 문해력

사람들이 전통적인 읽기 및 쓰기 이외의 방법을 통해 세상을 경험하고 이해하는 것을 강조하는 개념입니다. 시각, 청각, 언어, 공간, 제스처 등 다양한 의사소통 방식에는 고유하고 의도적인 문해력 연습과 적용이 필요합니다.

참조: 다중 문해력에 대한 유네스코 용어집.

뉴스 리터러시

전문 저널리즘의 기준, 관행, 윤리를 이해하고 인식하여 뉴스의 신뢰성을 판단하는 능력.

참여 문화

진입 장벽과 참여 장벽이 낮고 표현과 창작이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로 이어질 수 있는 협력적인 미디어 환경을 일컫는 용어입니다.

참조: 참여 문화의 도전에 직면하기: 21세기를 위한 미디어 교육(1부) – 팝 정션

표현

미디어 텍스트가 그룹, 커뮤니티, 경험, 사회적 이슈, 특히 정체성과 고정관념을 어떻게 묘사하는지 살펴봅니다.

참조: 미디어 표현 – 미디어 및 뉴스 리터러시 – 제임스 매디슨 대학교 연구 가이드

참조: 소개 – 표현이란 무엇인가요? – GCSE 미디어 연구 개정판 – BBC Bitesize

회의론 냉소주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은 미디어에 대해 냉소적이지 않고 회의적일 것을 강조합니다. 회의적인 학습자는 자신의 미디어 경험에 의문을 제기하고, 냉소적인 학습자는 어떤 것이 가치 있고, 적격하며, 정확하고, 신뢰할 수 있는지 의심합니다.

참조: 진실 붕괴를 완화하기 위한 도구로서의 미디어 리터러시 교육 탐구 | RAND

참조: 미디어 리터러시가 역효과를 낼 수 있나요? | 미디어스마트

사회 정의

사회 정의는 특정 개인이나 집단을 차별하거나 가치를 떨어뜨리는 시스템을 종식시키기 위한 지속적인 노력입니다. 사회 정의의 노력은 모든 사람이 가치를 인정받는 사회, 모든 사람이 완전한 인권과 시민권을 가지고 있기 때문에 모든 사람의 사회 참여와 시민 참여가 가능한 사회를 만들고 유지하는 것을 목표로 합니다.

참조: 존 루이스 사회 정의 연구소

사회정서적 리터러시

사회-정서적 리터러시는 종종 사회-정서적 학습(SEL)의 범주에 속합니다. 사회-정서적 리터러시와 사회-정서적 학습 모두 학습자가 감정을 관리하고 긍정적인 사회적 관계를 맺도록 도와 건강한 정체성을 개발하는 데 중점을 둡니다.

참조: 연구 결과는 무엇을 말하나요? – CASEL

참조: 사회 및 정서 학습(SEL) 정의하기 | NC DPI

가치관

개인의 원칙이나 행동 기준, 또는 중요하거나 가치 있는 것에 대한 개인적인 견해.

[원문]

Core Principle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The National Association for Media Literacy Education (NAMLE) aims to make media literacy highly valued and widely practiced as an essential life skill. In a mediated world, all people are consumers and creators who deserve guidance on how to cultivate mindful, empowering relationships with media.

NAMLE views media literacy—the ability to access, analyze, evaluate, create, and act using all forms of communication—as an essential 21st-century literacy. Media literacy education is the ongoing development of habits of inquiry and skills of expression necessary for people to be critical thinkers, thoughtful and effective communicators, and informed and responsible members of society. Developing these habits and skills is vital to civic life.

The Core Principles below articulate NAMLE’s position on media literacy education and illuminate the complex dynamics between individuals, media, and the systems and structures that shape our world. The additional Implications for Practice, which are available to view under each principle, highlight distinguishing features of effective media literacy education. NAMLE’s intent is these Core Principles and Implications for Practice build greater awareness and help scale media literacy education in all facets of life in the U.S.

NAMLE believes effective media literacy education:

1. Expands the concept of literacy to include all forms of media and integrates multiple literacies in developing mindful media creators and consumers.

2. Envisions all individuals as capable learners who use existing knowledge, skills, beliefs, and experiences to create meaning from media experiences.

3. Promotes teaching practices that prioritize curious, open-minded, and self-reflective inquiry while emphasizing reason, logic, and evidence.

4. Encourages learners to practice active inquiry, reflection, and critical thinking about the messages they experience, create, and share across the ever-evolving media landscape.

5. Necessitates ongoing skill-building opportunities for learners that are integrated, cross-curricular, interactive, and appropriate for age and developmental stage.

6. Supports the development of a participatory media culture in which individuals navigate myriad ethical responsibilities as they create and share media.

7. Recognizes that media institutions are cultural institutions and commercial entities that function as agents of socialization, commerce, and change.

8. Affirms that a healthy media landscapes for the public good is a shared responsibility among media and technology companies, governments, and citizens.

9. Emphasizes critical inquiry about media industries’ roles in society, including how these industries influence, and are influenced by, systems of power, with implications for equity, inclusion, social justice, and sustainability.

10. Empowers individuals to be informed, reflective, engaged, and socially responsible participants in a democratic society.

Glossary of Terms

Our glossary includes more information on the terms and concepts used in these core principles.

2023 Revision of the Core Principles

In updating these documents, the NAMLE committee drew from the work of:

The National Media Literacy Alliance organizations, Center for Media Literacy, MediaSmarts, Media Education Lab, Project Look Sharp, Learning for Justice, The John Lewis Institute for Social Justice, The Stanford History Education Group, Belinha S. De Abreu, Neil Anderson, Lynda Bergsma, Spencer Brayton, Natasha Casey, David Considine, Sherri Hope Culver, Yonty Friesem, Renee Hobbs, Henry Jenkins, Amy Jensen, Douglas Kellner, Antonio López, Paul Mihailidis, Nicole Mirra, Srividya Ramasubramanian, Theresa Redmond, Faith Rogow, Jeff Share, Cyndy Scheibe, Sangita Shreshthova, and Elizabeth Thoman.

Original Core Principles (2007)

The original Core Principles (2007) were developed by the following past and present NAMLE/AMLA Board members: Lynda Bergsma, David Considine, Sherri Hope Culver, Renee Hobbs, Amy Jensen, Faith Rogow, Elana Yonah Rosen, Cyndy Scheibe, Sharon Sellers-Clark, and Elizabeth Thoman.

The original authors drew from the work of:

Association for Media Literacy, British Film Institute, Center for Media Literacy, Ontario Ministry of Education Media Literacy Resource Guide, Project Look Sharp, Television Awareness Training, Neil Andersen, Frank Baker, Cary Bazalgette, David Buckingham, John Condry, Jay Francis Davis, Stan Denski, Barry Duncan, Linda Elder, Liz Flynn, Paulo Freire, John Taylor Gatto, George Gerbner, Steven Goodman, Bradley Greenberg, Thomas Gencarelli, Peter Henriot, Joe Holland, Stewart Hoover, Henry Jenkins, Tessa Jolls, Sut Jhally, Robert Kubey, Ben Logan, Len Masterman, Barrie McMahon, Laura Mulvey, Richard Paul, James Potter, John Pungente, Byron Reeves, David Scholle, Rosalind Silver, Art Silverblatt, Ladislaus Semali, Erik Strommen, Chris Sperry, Robyn Quin, Kathleen Tyner, and participants at the 1990 UNESCO Conference “New Directions in Media Education”

Core Principles of Media Literacy Education Glossary of Terms

This glossary is a living document that will no doubt change as media literacy evolves. For some especially complex entries, additional resources for educators have been provided. We hope to continue adding to these suggested resources as much as possible, and we welcome resource submissions from our community to help support all educators.

Bias

A prejudice or leaning—conscious or unconscious—that may influence judgments in an unfair manner.

Censorship

The practice of banning, removing, restricting access or deleting messages or materials.

Citizenship

A sense of belonging and expression of public identity through awareness of and participation in community and civic happenings.

Civic

Relating to the role and responsibilities of a person in regards to social and political structures.

Codes and Conventions

Different mediums rely on features and techniques unique to that medium to convey meaning. These codes and conventions can include technical features (for example, camera movement and lighting in a horror film) and symbolic codes (for example, raised eyebrows in a graphic novel to convey surprise or skepticism). Using the conventions of a particular medium increases the likelihood that the audience will perceive the medium as intended. 

See: Module 4: Languages in Media and Information from Unesco.

See: Code and convention | English Conceptual Learning

Cognitive Awareness

Understanding of the mental processes that occur as the brain experiences information.

Co-learning Pedagogies

Teaching pedagogies that position the educator as a facilitator and the learner as a co-designer in the educational experience. These pedagogies disrupt the traditional educational hierarchy of “sage on the stage” and instead emphasize environments where learning is reciprocal between teachers and learners.

Constructed

Media messages are the result of myriad decisions media creators must make in creating a message as well as the values, techniques, environments, and structures that shape or motivate those decisions.

Constructivist

An approach to teaching premised on appreciating and facilitating how learners construct knowledge and do not passively take in information. Learners incorporate new knowledge into their pre-existing ideas about the world through reflection and critical thinking. 

See: Constructivism – Office of Curriculum, Assessment and Teaching Transformation – University at Buffalo

See: Project Look Sharp’s Constructivist Approach

Critical Inquiry 

Gathering and analyzing ideas, messages, information, and assumptions from multiple and diverse perspectives to further well-reasoned understanding and to produce new ideas and questions.

Critical Media Literacy

An inquiry-based media literacy practice concerned specifically with critically examining structures, systems, ideologies, representations, and power. 

See: Kellner and Share’s Critical Media Literacy Framework

Cross-curricular

The application and integration of multiple academic disciplines simultaneously.

Cultural Institutions

Organizations and systems focused on preserving or promoting culture through knowledge creation, interpretation, and dissemination.

Democratic Society

A society that guarantees fundamental rights to freedom of expression, including a free press, religion, voting, and representation and protects the dignity and equal rights of each person through systems of checks and balances.

Digital Literacy

A subset of media literacy that focuses on the knowledge, skills, and attitudes necessary to understand how digital tools interact with and impact society.

Distributors

Entities including Individuals, organizations, and platforms that help deliver media content to the public.

Ecomedia literacy

The examination of how technological developments and media production impact living systems and the physical environment. 

See: The Journal of Media Literacy – Ecomedia Literacy Issue – International Council for Media Literacy

Equity

Justice and fairness in creating equal outcomes for all, especially for minoritized, marginalized, and underserved groups.

Historically Marginalized 

Groups and communities that have been and may continue to be relegated to the periphery of society and denied full participation in society because of unequal power dynamics in social, political, and cultural systems.

Information Literacy

A set of skills supporting the ability to discern when information is needed, including the ability to find, analyze, evaluate, use, and reflect on the needed information.

See: Presidential Committee on Information Literacy: Final Report | Association of College & Research Libraries (ACRL)

Literacy

The ability to encode and decode symbols and to synthesize and analyze messages.

Media

All electronic, digital, and print means used to transmit messages.

Media Analysis

The process of using critical inquiry to understand a message. Effective media analysis is based on the following media literacy concepts: 

  • All media messages are constructed.
  • Each medium has different characteristics, strengths, and a unique “language” of construction.
  • Media messages are produced for particular purposes.
  • All media messages contain values and points of view.
  • People use their individual skills, beliefs and experiences to interpret their own meanings from media messages.
  • Media and media messages can influence beliefs, attitudes, values, behaviors, and the democratic process.

Media Creator

Someone who expresses ideas, values and emotions through media and communication tools.

Media Consumer

Someone who receives, interprets or interacts with media messages through any form of media.

Media Experience

A term used to emphasize the participatory nature of people’s interactions with media. Media experience accounts for both the media text (a media product we wish to examine) and the environment in which a person encounters the text. The environment includes the physical and technological setting in which the media text is encountered, as well as the layered personal and social contexts people bring to their media use. 

Media Institutions

Organizations that own and produce media content, media platforms, media distribution channels, or a mix of these.

Media Landscape

The greater media environment in which people communicate, including setting, format, ownership, regulation, and professional practices.

Media Literacy

The ability to access, analyze, evaluate, create, and act using all forms of communication.

Mediated

A situation in which messages are carried via information or communication tools or technologies instead of through face-to-face communication.

Metacognition

Critical awareness and understanding of one’s thinking and learning processes.

See: Metacognition | Center for Teaching | Vanderbilt University

Multiple Literacies

A concept emphasizing that people experience and make sense of the world through methods beyond traditional reading and writing. Different modes of communication—visual, audio, linguistic, spatial and gestural—require their own unique and intentional literacy practices and applications.

See: UNESCO glossary for multiple literacies.

News Literacy

The ability to determine the credibility of news by understanding and recognizing the standards, practices, and ethics of professional journalism. 

Participatory Culture

We use this term to invoke a collaborative media environment in which there are low barriers to entry and engagement, and in which expression and creation can lead to positive social connections.

See: Confronting the Challenges of Participatory Culture: Media Education for the 21st Century (Part One) — Pop Junctions

Representation

How media texts portray groups, communities, experiences, and social issues, especially in regards to identity and stereotyping.  

See: Media Representation – Media & News Literacy – Research Guides at James Madison University

See: Introduction – What is Representation? – GCSE Media Studies Revision – BBC Bitesize

Skepticism v. Cynicism 

Media literacy education emphasizes being skeptical and not cynical of media. Learners who are skeptical question their media experiences, while learners who are cynical doubt that anything could be valuable, eligible, accurate or trustworthy.

See: Exploring Media Literacy Education as a Tool for Mitigating Truth Decay | RAND

See: Can Media Literacy Backfire? | MediaSmarts

Social Justice

Social justice is the ongoing effort to end systems that discriminate or devalue any person or group. Social justice efforts aim to create and sustain a society in which all people are valued, where social and civic participation is possible for all people because all people have full human and civil rights.

See: John Lewis Institute for Social Justice

Social-Emotional Literacy

Social-emotional literacy often falls under categories of social-emotional learning (SEL). Both social-emotional literacy and social-emotional learning focus on developing healthy identities by helping learners manage emotions and make positive social connections. 

See: What Does the Research Say? – CASEL

See: Defining Social and Emotional Learning (SEL) | NC DPI

Values

A person’s principles or standards of behavior, or their personal regard for what is deserving of importance or worth.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 개념 정의 (캐나다 MediaSmarts)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정의
(캐나다 MediaSmarts)

출처: https://mediasmarts.ca/digital-media-literacy/general-information/digital-media-literacy-fundamentals/defining-digital-media-literacy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란 모든 종류의 미디어에 비판적이고 효과적이며 책임감 있게 접근하고, 사용하고, 이해하고, 참여하는 능력을 말합니다.

미디어스마트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정의는 디지털 리터러시가 미디어 리터러시를 대체하거나 병행하는 것이 아니라 오히려 이를 기반으로 하며, 기존 미디어와 디지털 미디어의 차이, 특히 네트워크화된 특성에서 비롯된 새로운 개념을 통합한다는 인식에 기반하고 있습니다. 많은 디지털 이슈는 전통적인 미디어 리터러시의 핵심 개념 없이는 이해할 수 없습니다.

미디어는 청소년의 삶에서 강력한 힘을 발휘합니다. 음악, TV, 비디오 게임, 소셜 네트워크, 온라인 비디오 및 기타 미디어는 모두 우리가 세상을 보는 방식에 큰 영향을 미치며, 그 영향은 유아기부터 시작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참여적이고 비판적인 미디어 사용자이자 소비자가 되려면 청소년은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의 기술과 습관을 개발해야 합니다.

이러한 기술에는 미디어에 접근하고 디지털 네트워크를 탐색하는 능력, 특정 핵심 개념을 바탕으로 비판적인 방식으로 미디어를 분석하고 평가하는 능력, 디지털 및 미디어 도구를 사용하여 학교, 업무, 개인적인 관심사를 위해 미디어를 제작하는 능력, 자신을 표현하고 온라인 및 오프라인 커뮤니티에 참여하기 위해 미디어와 소통하는 능력 등이 있습니다. 미디어스마트의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모델은 핵심 개념, 핵심 역량, 프레임워크 주제 등 세 부분으로 구성됩니다.

간단히 말해, 핵심 개념은 학생들이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에 대해 이해해야 하는 내용이고, 핵심 역량은 학생들이 수행할 수 있어야 하는 내용이며, 프레임워크 주제는 학생들이 알아야 하는 내용입니다.

모든 핵심 개념, 핵심 역량 및 프레임워크 주제는 모든 연령과 학년 수준의 학생들에게 가르칠 수 있습니다.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기술을 배우는 이 과정이 바로 미디어 교육입니다.

캐나다에서 미디어 교육의 중요성은 주 및 준주 커리큘럼에 미디어 리터러시 결과를 포함시키는 것을 통해 알 수 있습니다. 그러나 미디어 교육과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를 정확히 정의하고 이를 교실에 통합하는 가장 좋은 방법을 찾는 것이 항상 간단한 것은 아닙니다.

미디어 리터러시란 무엇을 의미할까요?

디지털 리터러시를 포함하도록 확장되고 뉴스 리터러시, 광고 리터러시 등의 하위 분야로 나뉘는 미디어 리터러시 분야는 하나의 정의로 설명하기에는 너무 광범위하지만[1], 이러한 광범위함은 필수적입니다.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는 단순히 정보를 검증하거나 고정관념을 해체하거나 ‘네티켓’을 준수하거나 온라인에서 개인 정보를 보호하는 것만을 의미하지 않습니다. 이러한 다양한 측면은 똑같이 중요할 뿐만 아니라 때로는 놀라운 방식으로 서로 연결되어 있습니다.

예를 들어, 어린 아이들에게 성 고정관념을 조장하는 것과 소셜 네트워크의 데이터 수집은 모두 콘텐츠와 광고를 더 정확하게 타겟팅하려는 마케터의 욕구에 의해 동기 부여되며, 사이버 괴롭힘에서 잘못된 정보에 이르기까지 다양한 현상에 영향을 미치고 그 자체로 영향을 미칩니다.

따라서 미디어 리터러시는 전통적으로 ‘미디어 리터러시’와 ‘디지털 리터러시’에 모두 포함되는 기술, 지식, 비판적 역량을 갖춘 사람이며, 이들 사이의 연관성에 대한 이해도 갖추고 있는 사람입니다.

또한 대부분의 미디어는 인쇄물보다는 음성 언어에 가깝기 때문에 ‘리터러시’라는 단어의 사용이 부정확하다고 주장할 수도 있습니다. 미디어에는 의미를 전달하는 코드와 규칙이 있지만, 이를 해독해야만 이해할 수 있는 것이 아니라 간단한 노출을 통해 학습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가르치지 않아도 미디어를 이해할 수 있기 때문에 미디어에 저자가 있고 일련의 창의적인 결정에 의해 만들어졌다고 생각할 가능성이 적으며, 따라서 이를 배우는 것은 문자와 단어를 처음 해독하는 것과 비슷한 ‘아하’의 순간이 될 수 있습니다.

또한 이 용어는 기술적이고 실용적인 능력을 넘어 문해력이라는 용어의 전체 의미를 고려하는 데 유용합니다.”우리가 누군가를 ‘문해력 있는’ 사람이라고 표현할 때 단순히 읽고 쓸 수 있다는 의미는 아닙니다… 문해력이라는 개념은 일반적으로 보다 반성적인 접근 방식을 의미합니다. 이러한 넓은 의미의 리터러시에는 분석, 평가, 비판적 성찰이 포함됩니다.”[2]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의 개념은 단순한 기술의 집합이 아니라 실천으로 생각할 때 더욱 유용해집니다. 기술과 지식의 기반 위에 있지만,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의 최종 목표는 청소년들이 “한 사회의 문화적, 경제적, 정치적 구조에 접근”하고[3] 그들이 사용하고 소비하는 미디어에 대해 질문하고 도전하며 (원하는 경우) 반발하도록 동기를 부여하는 것이기 때문입니다.

또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는 일차원적이지 않습니다. 어떤 면에서는 미디어 리터러시가 가능하지만 다른 면에서는 불가능할 수 있으며 미디어 전문가조차도 미디어 표현 문제나 심지어 자신이 속한 산업의 상업적 현실에 대한 이해가 제한적인 경우가 많기 때문입니다. 마찬가지로 디지털 미디어에 대한 젊은이들의 열정은 잠재적인 문제를 감추고 있습니다.

인터넷 기술을 익히도록 유도할 필요가 없고 기성세대에 비해 실력이 빠르게 향상되지만, 지도 없이는 아마추어 디지털 기술 사용자로 남게 됩니다. 오늘날의 미디어가 풍부한 환경에서 글을 읽을 줄 아는 사람이 되기 위해서는 청소년들이 디지털 시대에 맞는 지식과 가치관, 비판적 사고, 의사소통 및 정보 관리 기술을 개발해야 합니다.

점점 더 많은 비즈니스와 서비스, 심지어 민주적 절차까지 온라인으로 이전함에 따라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 능력이 부족한 시민은 의료, 정부 서비스, 고용, 교육, 시민 참여의 기회에 접근하는 데 있어 불이익을 받을 위험이 있습니다[4].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는 영어나 전통적으로 기술 또는 ‘정보 리터러시’를 다루는 교과과정의 일부에만 국한된 것이 아니라 “역사를 배우고 역사를 공부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 과학을 배우고 과학 공부 방법을 배우는 것만큼이나 ICT(정보통신기술)에 대해 배우고 ICT 사용 기술을 배우는 것의 핵심 부분”입니다. 실제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를 보유하는 것은 학교에서 이미 배운 기술과 지식을 보완하고 확장하는 중요한 삶의 기술입니다.”[5]

결국 교육적 맥락에서 디지털 미디어 리터러시의 정의를 개발할 때 가장 중요한 고려 사항은 그것이 유용한지, 즉 교사가 활동과 리소스를 개발, 조정 및 구현하는 데 유용하고 학생에게는 온라인 세계에 대한 비판적 질문을 던질 수 있는 렌즈로서 유용한지 여부입니다.

전통적인 미디어 리터러시는 사이버 괴롭힘이나 온라인 개인정보 보호와 같은 문제를 분석하는 데 거의 도움이 되지 않지만, 동시에 이러한 문제와 유사한 문제에는 단순한 (그리고 금방 쓸모 없어지는) 기술적 지침을 넘어서는 미디어 리터러시 렌즈가 필요합니다.

또한 허위 정보 확인 및 공유와 같은 문제는 디지털 리터러시와 전통적인 미디어 리터러시 모두와 관련된 기술에 의존한다는 증거가 증가하고 있습니다.[6]

미디어 교육은 최신성과 관련성을 유지하기 위해 디지털 미디어의 고유한 특성을 반영하도록 미디어 리터러시의 기본을 업데이트하고 디지털 리터러시에 미디어 리터러시 실천을 적용해야 합니다: “디지털 기술을 사용하고 조작하는 방법을 배우는 것도 중요하지만, 인간이 이 기술 사회 시스템에 의문을 제기하고 도전하고 따라서 형성하는 역할에 대한 이해 없이 디지털 리터러시의 범위는 제한적입니다.”[7].

[1] Cunliffe-Jones, P., Gaye, S., Gichunge, W., Onumah, C., Pretorius, C., & Schiffrin, A. (2021). The State of Media Literacy in Sub-Saharan Africa 2020 and a Theory of Misinformation Literacy. Misinformation Policy In Sub-Saharan Africa: From Laws and Regulations to Media Literacy.

[2] Buckingham, D. (2007). Digital Media Literacies: rethinking media education in the age of the Internet. Research in comparative and international education, 2(1), 43-55.

[3] Belshaw, D. A. (2012). What is’ digital literacy’?: a pragmatic investigation (Doctoral dissertation, Durham University).

[4] Hobbs, Renee (2012). “Hobbs: Info literacy must be a community education movement.” http://www.knightcomm.org/hobbs-info-literacy-must-be-a-community-education-movement/

[5] Hague, C. and Williamson, B. (2009). Digital Participation, Digital Literacy, and School Subjects: A Review of the Policies, Literature and Evidence. Bristol: Futurelab.

[6] Sirlin, N., Epstein, Z., Arechar, A. A., & Rand, D. (2021). Digital literacy and susceptibility to misinformation. This study found that while digital literacy was associated with a better ability to recognize false online content, only knowledge of how the news industry works was associated with a lower likelihood of sharing it.

[7] Pangrazio, L. (2016). Reconceptualising critical digital literacy. Discourse: Studies in the cultural politics of education, 37(2), 163-174.

*번역: DeepL

“AI의 공감 격차: 생성형 및 대화형 AI 시대에 아이들을 안전하게 지키기” (Nomisha Kurin 교수 온라인 강연 소개)

‘AI의 공감 격차: 생성형 및 대화형 AI 시대에 아이들을 안전하게 지키기'(강연자: Nomisha Kurian, 케임브리지대학교 사회학과 부교수)라는 제목의 온라인 세미나가 영국 에딘버러대학교 디지털교육연구센터(Centre for Research in Digital Education) 주최로 한국 시각 3월 26일(화) 밤 11시에 열립니다.

관련 정보: https://www.de.ed.ac.uk/event/ais-empathy-gap

티켓은 무료이며, 아래 링크에서 예약하실 수 있습니다.

*예약을 하는 과정에서, 이 행사를 어떻게 진행하면 더 도움이 되겠느냐는 질문이 있어서, Zoom에서 Live Translation & Transcription 앱인 EventCAT 등을 사용해, 한국어를 비롯한 다국어 번역 지원을 해 주면 더 좋겠다고 의견을 남겼습니다. 예약하시는 분들이 같은 의견을 지속적으로 남겨주시면 좋지 않을까 합니다.

예약 링크: https://www.eventbrite.com/e/digital-education-seminar-with-dr-nomisha-kurian-ais-empathy-gap-tickets-828293637567?aff=oddtdtcreator

아래는 DeepL로 번역한 강연 초록과 강연자 약력입니다.

[강연 초록] 오늘날 어린이들은 클릭 한 번으로 인공지능과 ‘채팅’을 할 수 있습니다. 대규모 언어 모델의 급속한 발전과 생성 및 대화형 AI에 대한 과학적, 교육적 관심이 급증하면서 어린이의 안전에 대한 중요한 질문이 제기되고 있습니다. 이 강연에서는 AI를 ‘공감의 격차’로 구성되는 것으로 개념화하여 의인화의 위험부터 자연어 처리의 결함에 이르기까지 어린이의 관심사에 대한 주요 위험을 고려하는 아동 중심의 AI 접근 방식에 초점을 맞추고 있습니다. 따라서 이 강연에서는 아동 복지에 대한 AI의 연구가 미흡한 결과를 지적하고, 아동 보호의 윤리적 의무를 강조하며 책임감 있는 아동 중심 AI 설계를 위한 사회기술적 옹호를 강조합니다. 이 보고서는 여러 차원의 정책과 실무에서 교육자와 연구자가 고려해야 할 구체적인 실무적 고려 사항을 제시하며 마무리됩니다.

[강연자 약력] Nomisha Kurian 박사는 케임브리지대학교 ‘레버헐름 지능의 미래 센터’의 교육 부교수 겸 부연구위원입니다. 아동 복지를 전문으로 연구하며 현재 인공지능의 혁신이 아동의 복지와 발달에 미치는 영향을 조사하고 있습니다. 그녀는 최근 ‘실제 적용이 가능한 뛰어난 연구’로 캠브리지 응용 연구상을 수상한 최초의 교육 연구자가 되었으며, 최근에는 캠브리지 부총장의 사회적 영향력상을 수상하기도 했습니다. 이전에는 예일대학교 헨리 펠로우로서 국제 인권법을 활용하여 소외된 아동을 위한 집단 따돌림 방지 프레임워크를 설계했습니다. 그녀의 연구는 가장 최근에는 옥스포드 리뷰 오브 에듀케이션, 영국 교육 연구 저널, 국제 인권 저널에 게재되었습니다. 케임브리지 대학교 웰빙과 포용 특별 관심 그룹의 공동 의장을 맡고 있으며, 이전에는 케임브리지 평화와 교육 연구 그룹의 공동 의장을 역임했습니다.

Nomisha Kurian 교수의 연구를 검색해 보니, 이번 온라인 강연 주제가 최근 학술지에 발표된 것을 찾을 수 있었습니다.

링크: https://www.researchgate.net/publication/374803300_AI’s_empathy_gap_The_risks_of_conversational_Artificial_Intelligence_for_young_children’s_well-being_and_key_ethical_considerations_for_early_childhood_education_and_care

초록의 내용이 흥미로워, DeepL로 번역한 것을 아래에 옮깁니다. 한국에서는 아직 이와 같이 어린이 교육 분야에서의 AI 활용에 대해 비판적인 관점에서 이루어진 실제적인 연구를 찾아보기 어렵습니다. 지속적으로 진화하는 디지털 환경에서 새로운 기술로부터 어린이와 청소년들이 얻을 수 있는 교육적 기회와 혜택에 대해서도 관심을 가져야 하지만, 교육 분야 AI의 도입이 갖는 위험성에 대해 알리는 연구와 담론에 대해서도 주목하며, 신중한 접근이 필요하다고 생각합니다.

저도 계속 찾아보며 공부 중입니다. 앞서 소개한 온라인 강연을 듣기 전에 미리 읽어보시면 좋을 것 같습니다.

[논문 초록] 급속한 기술 발전으로 어린 아이들도 인공지능(AI)과 ‘대화’하는 것이 그 어느 때보다 쉬워졌습니다. 교육과 엔터테인먼트를 아우르는 대화형 AI 모델에는 유아 교육 및 보육을 위해 특별히 설계된 모델뿐만 아니라 유아를 위해 설계되지는 않았지만 어린이가 쉽게 접근할 수 있는 모델도 포함됩니다. 따라서 클릭 한 번으로 AI와 대화할 수 있는 상황에서 어린이 복지(wellbeing)에 미치는 윤리적 영향을 비판적으로 분석하는 것은 매우 중요합니다.

이 콜로키움에서는 공감을 모방하도록 설계된 AI 시스템의 특징인 ‘공감 격차’를 지적하고, 아동 복지에 대한 불규칙하거나 부적절한 반응의 위험성을 설명합니다. 또한 대화형 AI가 어떻게 어린이의 정서적 요구에 적절히 대응하지 못할 수 있는지, 학습 데이터에 의해 결정된 사전 정의된 맥락 내에서 작동하는 AI의 자연어 처리의 한계를 추적하면서 주요 사회적, 기술적 우려에 대해 논의합니다. 대화형 AI는 패턴과 데이터 연관성을 인식하는 데 능숙하지만, 비정상적인 말 패턴, 상상력이 풍부한 시나리오 또는 어린이들의 의사소통에서 흔히 볼 수 있는 장난스럽고 비문자적인 언어에 직면했을 때 흔들릴 수 있습니다. 또한 사회적 편견이 AI 학습 데이터에 침투하거나 대화형 AI의 결과물에 영향을 미쳐 안전하고 차별 없는 환경에 대한 아동의 권리를 훼손할 수 있습니다.

따라서 이번 콜로키움에서는 아동을 보호하고 책임감 있는 아동 중심 설계의 윤리적 의무를 강조합니다. 이 콜로키움에서는 유아 교육 및 보육 분야의 대화형 AI에 대한 정책, 관행 및 비판적 윤리적 성찰을 위한 일련의 실질적인 고려 사항을 제시하며, 투명한 의사소통, 지속적인 평가 및 아동의 복지를 우선시하는 강력한 가드 레일의 필요성을 강조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