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청소년 미디어 교육 지원을 위한 부모 참여 중심 소셜리빙랩 운영 방안”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 2021)

한국청소년정책연구원의 “청소년 미디어 이용 실태 및 대상별 정책대응방안 연구 2: 10대 청소년”(연구책임자: 배상률)의 협동 연구로 진행된 “청소년 미디어 교육 지원을 위한 부모 참여 중심 소셜리빙랩 운영 방안”(연구책임자: 정현선)의 보고서가 발간되었습니다.

이 보고서는 학교 미디어 교육 지원 플랫폼인 ‘미리네‘에서 다운로드 받을 수 있습니다.

보고서 다운로드 링크

이 연구는 부모들이 어린이와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교육의 참여자로서의 실천적 경험을 공유하면서, 청소년의 미디어 이용에 대한 이해를 주도적으로 재구성하고 확장할 수 있는 부모 교육의 기회를 만들어가는 것이 필요하다고 보아, 부모 참여형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하여 운영하는 ‘소셜 리빙랩’ 방법을 중심으로 이루어졌습니다.

팬데믹 상황에서 더욱 앞당겨진 디지털 전환 시대에 적합한 어린이와 청소년의 가정 내 미디어 이용 지도를 위해 부모들에게 일방적인 지침을 제공하는 것이 아니라, 부모들이 주도적으로 참여하는 새로운 부모 미디어 교육 프로그램을 개발할 필요가 있습니다. 지속적으로 진화하는 디지털 미디어 환경과 사회 문화 속에서 어린이와 청소년의 연령층과 특성에 따라 자녀들의 미디어 이용에 대해 최신 연구 결과에 근거한 새로운 부모 교육의 내용과 방법이 마련될 필요가 있습니다.

이 연구는 체계적 문헌 연구와 국내외 전문가 자문 및 연구진 숙의를 바탕으로 한 소셜 리빙랩 연구의 설계와 실행 방법을 적용하여 이루어졌습니다.

소셜 리빙랩은 1) 생활 환경을 더 나은 방향으로 발전시키기 위해 2) 정책 및 공공 서비스 제공과 관련한 문제 해결 및 의사결정 과정에서 3) 시민에 대한 권한 부여를 장려하고 연구자, 시민, 기타 지역사회 행위자와 공동으로 지식을 구축하는 지역사회 관여형 연구방법론입니다.

이 연구는 1) 부모 참여자 모집과 선정, 2) 부모 참여자 대상 설문 및 인터뷰 질문 항목의 설계, 3) 자녀의 미디어 중재자로서 부모의 이해 증진을 위한 소셜 리빙랩 프로그램의 운영, 4) 소셜 리빙랩 프로그램의 자료 수집과 분석 및 집필의 네 단계로 이루어졌습니다.

자세한 연구의 내용과 결과 및 정책 제언은 보고서를 참고해 주시기 바랍니다.

Leave a Reply

Fill in your details below or click an icon to log in:

WordPress.com Log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WordPress.com account. Log Out /  Change )

Twitter picture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Twitter account. Log Out /  Change )

Facebook photo

You are commenting using your Facebook account. Log Out /  Change )

Connecting to %s